🔹 리플과 XRP의 개념 차이
리플(Ripple)은 국제 송금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 네트워크이며, 이를 운영하는 회사는 리플랩스(Ripple Labs)입니다. 반면 XRP는 이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암호화폐)입니다. 쉽게 말해, 리플은 시스템, XRP는 그 안에서 사용되는 화폐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 왜 블록체인의 황제인가?
리플은 초당 1,500건 이상의 거래를 3~5초 이내에 처리할 수 있는 초고속, 저수수료 결제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또한 글로벌 은행, 결제 업체와의 실사용 기반 파트너십이 활발해 ‘실제 금융에서 쓰이는 블록체인’으로 평가받습니다. 이 점에서 단순한 투기 자산이 아닌 실물 기반 블록체인의 강자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XRP의 시장 동향과 전망
XRP는 2017~2018년 급등기 이후, SEC 소송 등 다양한 변수로 시세가 크게 흔들렸습니다. 하지만 2023년 법원 판결 일부 승소 이후 재상장과 함께 반등을 시작했고, 2025년 현재는 1달러 안팎에서 거래 중입니다. 향후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플랫폼 참여 여부에 따라 장기적 상승 여력도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SEC 소송과 규제 이슈(증권 vs 블록체인)
미국 SEC는 2020년, XRP를 미등록 증권으로 간주하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2023년 법원은 일반 투자자 대상 판매는 증권이 아니라고 판단하면서 XRP에 유리한 판결이 나왔지만, 기관 투자자 부분은 아직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최종 판결과 글로벌 규제 방향에 따라 XRP의 미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 Q&A – 자주 묻는 질문 7가지
Q1. XRP는 채굴이 되나요?
아니요. XRP는 초기 발행량(1000억 개) 중 일부를 유통하며,
채굴(Mining)이 불가능한 구조입니다.
Q2. 리플과 XRP는 같은가요?
다릅니다. **리플(Ripple)**은 결제 네트워크 및 회사 이름이고, **XRP는 그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디지털 자산)**입니다.
Q3. 송금 속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XRP는
3~5초 이내로 거래가 완료되며,
은행 간 국제 송금에 활용될 정도로 빠릅니다.
Q4. XRP는 어디서 거래하나요?
XRP는 다음과 같은 주요 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습니다:
-
국내: 업비트, 빗썸, 코인원
-
해외: 바이낸스(Binance), 크라켄(Kraken), 쿠코인(KuCoin), 후오비(Huobi)
Q5. 리플은 왜 규제 이슈가 많나요?
2020년 미국 SEC가 XRP를
미등록 증권으로 보고 소송을
제기하면서 규제 불확실성이 커졌습니다. 이후 일부 승소했지만 여전히 법적 공방
중입니다.
Q6. 비트코인과 XRP의 가장 큰 차이점은?
-
비트코인은 탈중앙화된 채굴 기반 통화로, ‘디지털 금’ 역할에 가깝습니다.
-
XRP는 실시간 송금 시스템의 유동성 매개 역할로, 속도와 수수료 효율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또한 비트코인은 작업증명(PoW), XRP는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Protocol)을 사용합니다.
Q7. XRP를 보관하려면 어떤 지갑이 좋나요?
보안이 중요한 경우 하드웨어 지갑(Ledger, Trezor)이 권장되며, 모바일 지갑으로는
Xumm, Trust Wallet 등이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