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vs 스테이블코인 – 무엇이 다를까?

 ‘암호화폐(Cryptocurrency)’와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모두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이지만, 가치 변동성용도, 구조적 설계 면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 두 개념의 차이를 핵심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암호화폐 vs 스테이블코인 – 무엇이 다를까?

구분 암호화폐 (Cryptocurrency) 스테이블코인 (Stablecoin)
대표 예시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등 테더(USDT), USD코인(USDC), 다이(DAI), FDUSD 등
가치 변동성 매우 큼 (투자 자산 특성) 매우 적음 (가격 고정 구조)
가치 기준 시장 수요와 공급에 따라 자율적으로 형성됨 법정화폐(USD 등) 또는 자산(금, 채권 등)에 연동됨
발행 주체 탈중앙화 또는 특정 프로젝트 팀 민간 회사 또는 알고리즘 기반, 일부는 탈중앙화 구조
주요 기능 투자, 송금, 스마트 계약 실행 등 가치 저장, 결제, 송금, 디파이에서 중립 자산 역할
목적 블록체인 생태계 내 활동 참여, 수익 창출 안정된 디지털 결제 및 거래 수단 제공
리스크 가격 폭락 가능성, 규제 불확실성 발행사 리스크, 디페깅 위험, 알고리즘 실패 가능성

📌 핵심 차이 요약

  • 암호화폐는 **‘디지털 자산이자 투자 수단’**으로, 가격이 오르내리는 것 자체가 가치입니다.

  • 스테이블코인은 **‘가격을 고정시킨 디지털 화폐’**로, 결제 수단이나 중간 자산으로의 실용성이 핵심입니다.


📍 예시로 보는 차이점

  • 비트코인(BTC)

    • 공급량이 제한되어 있고, 가치가 시시각각 변합니다.

    •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디지털 금’의 성격이 강합니다.

  • USDT (테더)

    • 1 USDT = 1 USD로 고정되도록 설계

    • 거래소 간 송금, 디파이 자산 저장 등에서 실용적으로 사용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한 줄 정리
“암호화폐는 투자 자산,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화폐입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