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종별 주요 공제 항목 요약표
업종 | 공제 가능한 주요 항목 | 비고 |
---|---|---|
🎥 유튜버 / 크리에이터 | - 카메라, 마이크, 조명 등 장비비-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 구독료- 촬영 장소 대여료- 콘텐츠 제작 소품- 유튜브 광고비, 썸네일 디자인 외주비- 노트북, 스마트폰 구입비 (업무용 비율만) | 수익이 없다 해도 지출이 많다면 환급 가능 |
👩🏫 강사 / 교육자 | - 교재 구입비, 교육자료 인쇄비- 강의 PPT 소프트웨어 구독료- 출강 시 교통비/식비- 강의실 대관비- 온라인 강의 플랫폼 수수료- 교육 콘텐츠 제작비 | 공공기관, 사설 학원 모두 해당 |
🎨 디자이너 / 일러스트레이터 | - 포토샵, 일러스트 등 소프트웨어 구독료- 그래픽 태블릿, 노트북, 마우스 등 장비- 레퍼런스 서적 및 이미지 구매 비용- 클라이언트 미팅 교통비- 포트폴리오 제작비- 클라우드 저장소 요금 (드롭박스 등) | 창작물 저작권이 있는 경우 수입 처리 |
💻 프리랜서 개발자 | - IDE, 개발툴 라이선스 비용- 테스트용 도메인/서버호스팅 비용- 회의 교통비, 통신비- 장비 (노트북, 키보드 등)- 온라인 강의 수강료 (기술 업그레이드용) | 프로젝트 단가 계약 시 수수료도 포함 가능 |
📷 사진작가 | - 카메라, 렌즈, 삼각대 등 장비비- 촬영장소 대여료- 보정용 소프트웨어- 의상·소품 구매비- 차량 유지비 (장비 이동 시) | 장비 감가상각 필요 가능성 있음 |
💅 뷰티 아티스트 / 메이크업 | - 화장품 및 소모품 구매비- 메이크업 도구/의상비- 고객 응대용 소모품- 미용 관련 교육비- 공간 임대료 | 제품 시연용 구매 인정 가능 |
🧾 공통적으로 필요한 것
-
증빙자료 보관: 영수증, 세금계산서, 카드 내역
-
업무용 비율 산정: 100% 공제 안 되는 경우 ‘업무 사용률’ 고려
-
간편장부 / 기준경비율 선택: 소득 규모에 따라 유리한 방식 선택
📌 신고 전에 해야 할 준비
-
지출 항목별로 정리된 엑셀파일 준비
-
사업자등록 여부 확인 (무등록이라도 3.3% 대상이면 신고 가능)
-
홈택스 지급명세서 확인
-
공제 항목 누락 여부 점검